1.사용중이거나 개발중인 비만치료약제의 작용기전중 옳은것은?
가.neuropeptide Y receptor antagonist-열 생성을 촉진하여 에너지 소비를 증가
나.cannabinoid 1 receptor antagonist-중추,말초에 동시작용하여 음식섭취억제
다.beta3-adrenergic agonist-중추에 작용하여식욕억제
라.intestine lipase inhibitor-소장의 지방흡수감소
(1)가,나,다
(2)가,다
(3)나,라
(4)라
(5)가,나,다,라

2.다음중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의심환자에서 시행해볼수 있는 검사는
가.메티라폰자극검사
나.혈장부신피질자극호르몬측정
다.인슐린유발저혈당검사
라.24시간 소변free cortisol측정
(1)가,나,다
(2)가,다
(3)나,라
(4)라
(5)가,나,다,라

3.여성형유방에 대한 설명중 맞는것은?
가.pseudohynecomastia의 감별을 위하여 초음파와 유방조영술이 필요할수 있다.
나.남성유방의 성숙과 발달에는 prolactin이 가장중요한 역할을한다.
다.신생아,사춘기,노년기에는 생리적으로 여성형유방이 나타날수 있다.
라.대부분의경우에 항에스트로겐제제(tamoxifen)복용으로좋아진다.
(1)가,나,다
(2)가,다
(3)나,라
(4)라
(5)가,나,다,라

4. 22세여자가 다모증과 월경을 잘하지않아 왔다. 환자는 미혼으로 초경은 15세에 있었고 그후1년에 3~4회정도의 월경을하였다. 신장 159cm 체중68kg 혈압 130/80mmHg, 코밑수염과 턱 전흉부에 털이 많았다.
<검사소견>
테스토스테론:68ng/dL(정상:15~70)
ACTH:30ng/mL(10~59)
cortisol:12ug/dL(10~20)
prolactin:17ug/L

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10mg 7일투여후 자궁출혈이 유발되었다. 진단은?

(1)시상하부성무월경
(2)다낭성난소증후군
(3)안드로겐분비종양
(4)선천성부신과증식
(5)쿠싱증후군

5.다모증을 주소로 내원한 여성에서 쿠싱증후군등 다른 내분비질환이 배제되었을때 그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 시행해야 할 호르몬 검사는?
가.총테스토스테론
나.유리테스토스테론
다.DHEA
라.프로게스테론

(1)가나다
(2)가다
(3)나라
(4)라
(5)가나다라

6.갑상선기능항진증 수술에 관한 사항중 틀린것은?

1.수술전처치로 iodine을 투여
2.갑상선기능검사가 정상이 되면 즉시수술
3.갑상선기능항진증이 심하고 갑상선의비대가심한 소아혹은 젊은환자는 수술이 적절한 치료이다.
4.수술후재발하는 경우는 방사선 동위원소로 치료가선호된다.
5.수술전 처치로는 베타차단제도 사용

7.갑상선수술후 발생하는 합병증의 증상및원인과 일차대처법이다 틀린것은?

1.고음발성이 어렵다
-external branch of superior laryngeal nerve injury
-수술후 발견시 obsevation
2.hoarseness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수술중 발견시 문합술
3.호흡곤란및절개부위swelling
-출혈
-intubation
4.손발가락말단부위저림
-부갑상선기능저하
-칼슘공급
5.수술부위 swelling이 없는 호흡곤란
-bilateral recurrent nerve손상
-intuvation혹은tracheostomy

8.PGA(polyglandular autoimmune syndrome)에 대한 설명중 틀린것?

1.immune dysfunction으로 두개이상의 내분비선및 다른 비내분비성자가면역질환이 있을때 PGA를 고려
2.PGA1은 주로 유년기에 PGA2는 어른에서 발병
3.PGA1 환자는 유년기에 구강칸디다증이 있으며 치료에 잘반응안하고 재발이 흔하다.
4.PGA2는 상염색체우성으로 유전되며 HLA-DR3,4와 연관이있는 것으로 보고됨
5.PGA2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자가항체의 측정은 진단에 필수적임

제가혼자서끙끙대는것보다 실력있으신 분이 한번 보는게 나을것 같아서 올립니다.
부탁드립니다ㅜㅜ
기출문제 푸는데 100문제중 못푼문제들입니다. 한문제라도 좋으닌 좀...